본문 바로가기

괴산댐 만수위 넘어섬 1980년에도 넘쳐 두번째 넘침

음식요정 2023. 7. 15.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에 위치한 발전전용댐으로,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達川)의 물을 가로막아 건설되었다. 1952년 11월 착공하여 1957년 2월 완공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최초로 순수한 자력 기술로만 설계, 시공된 댐이다.

중력식 콘크리트 댐으로 댐의 높이 28m, 길이 171m, 부피 4만9555㎥ 이며, 상시 만수위는 135.65m, 계획 홍수위는 136.92m, 월류 수위는 137.65m이다. 댐의 유역 면적은 671㎢, 저수용량은 15,329,000㎥이다. 댐 좌안 직하부에 설비용량 1,300㎾의 카플란 수차발전기 2대가 설치되어 총 발전용량은 2,600㎾이다.

사건 사고

괴산댐은 1950년대에 건설된 댐으로, 달천의 유역 면적에 비해 댐의 저수용량이 작아 홍수 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있다. 한국 최대의 댐인 소양강댐과 비교하였을 때, 유역 면적은 4분의 1인 반면, 저수용량은 19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여기에 한국의 하천은 하상계수(유량변동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극단적인 수위 변화로 인한 수재가 빈번하며,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

  • 1980년 7월 22일, 충북지역에 내린 폭우로 댐의 수위가 만수위를 넘어서 월류가 발생하였으며, 발전설비 및 시설이 파괴되었다. 이 폭우는 괴산댐의 월류 외에도 보은군 지역에 대홍수를 발생시켜 장속저수지의 둑이 무너지는 사고가 있었다.
  • 2017년 7월 16일 충북지역에 200mm 이상의 폭우가 내릴 당시, 한국수력원자력이 괴산댐의 홍수위 제한 수위를 0.35 m 초과 운영하던 중 7개 수문을 동시에 개방하는 바람에 괴산군 일대에 홍수가 발생, 주민 2명이 숨지고 113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 2018년 6월에는 반대로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댐의 수위를 낮췄으나, 이후 한동안 비가 내리지 않는 바람에 댐이 말라 펄이 드러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저수율이 51.4%에서 30%대로 줄어들어 수력 발전이 중지되었으며, 일대 유람관광선 운행 등도 모두 중단되었다.
  • 2023년 7월 15일,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하여 댐의 수위가 만수위를 넘어섰다. 이날 오전 6시 30분부터 9시 22분까지 월류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붕괴 사고가 우려되어 당국은 일대 주민 1,168명을 대피시켰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