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 최고지190

기침에 좋은 벚꽃차 벚꽃차는 벚꽃을 넣어서 끓인 단방약차(單方藥茶)로 한 가지 재료만 사용하여 만들기가 간편하여 담백하고 한의학적으로 습진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다. 벚꽃이 피는 3월~4월에 따서 냉장 보관하여 먹는다. 벚꽃에는 비타민 A, B, E,가 풍부하고 숙취해소에도 효능이 있다. 봄철 접대용으로 적합하며 보기만 해도 기분이 화사해지는 봄철의 대표적인 약차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벚꽃차는 예부터 한방에서 약이 되는 차로 알려져 있으며, 식중독 등의 해독제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신염, 당뇨병, 습진, 기침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취 시기가 짧고 많은 양을 구하기 어려워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벚꽃차 (두산백과) 우리는 법 시중에서 봄철 한정으로 티백으로 팔기도 하지만 직접 벚꽃.. 건강이 최고지 2022. 12. 31.
성인 ADHD 자가진단 테스트 원인 해결방법 알아보기 성인이 되어서도 ADHD가 완치되지 않아 생기는 후유증이다. 아동, 청소년기의 충동성과 과잉 행동은 대부분 나이가 들면서 줄지만 집중력 결핍은 잘 개선되지 않는다. 학생 때는 공부만 신경 쓰면 되었지만 성인이 되어 독립하면 집안일부터 수습이 안 된다. 반려동물 밥 주기, 장보기, 빨래, 청소, 각종 요금 제 때 내기 등, 보통 사람들은 잊지 않고 챙기는 일들이 ADHD 환자에게는 힘들다. 지능지수는 80 이상으로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따라서 우울증, 강박증 같은 정신질환에 걸리기 쉬운데, 이 또한 집중력을 비롯한 인지 기능을 저해한다. 최근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만 6-18세 사이 아동/청소년 ADHD 증상들이 잘 알려져 있으나, 성인에게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는 아직 잘 알려져 .. 건강이 최고지 2022. 12. 28.
환공포증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8명이 가지고 있다는 공포증 바로 환공포증이다. 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구멍만 보면 소름이 돋고 불쾌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동그란 모양뿐만 아니라 다른 도형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유독 동그라미에만 반응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다면 왜 하필 동그라미였을까? 전문가들은 과거 농경사회 때 곡식을 보관하던 항아리나 장독대 모습과도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한 문화인류학에서는 구석기 시대 인간이 동굴 벽에 그려놓은 동물 그림 속 눈동자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추측도 나왔다. 이러한 원인분석 외에도 일부 학자들은 생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기도 했다. 즉 곤충 몸속에 들어있는 알처럼 동그랗고 작은 물체로부터 두려움을 느꼈을 가능.. 건강이 최고지 2022. 12. 21.
번아웃 증후군 원인 및 증상 Burnout Syndrome. 한자어로 소진(燒盡)이라고 한다. 어떤 직무를 맡는 도중 극심한 육체적/정신적 피로를 느끼고 직무에서 오는 열정과 성취감을 잃어버리는 증상의 통칭. 정신적 탈진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정신건강센터에서 일하는 치료자들이 느끼는 탈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게 용어의 시초다. 여기서 볼 수 있듯 시작은 클라이언트를 상대해야 하는 간호사, 사회복지사, 변호사 등의 '감정노동자'에 대한 연구에서 출발한 단어이지만,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직장인이 흔히 느낄 수 있는 업무능력 및 열정의 약화를 설명하는 신조어의 형태로 사용되는 중이다. 2019년 5월 25일, 세계보건기구에서 제11차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에 번아웃 증후군을 직업과 관련된 문제 현상으로 분류했다(Problems .. 건강이 최고지 2022. 12. 6.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증상 1955년 영국의 외과의사 J. Todd가 자신의 논문에서 다룬 질환으로 일부 편두통, 간질을 가진 환자에게서 보고된 증상이다. 제대로 연구되고 인정된 하나의 질병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 원인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 감염의 초기 증상으로 꼽힌다. 또한, 편두통이나 뇌종양과 같은 일부 중추신경계 이상 질환들과도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진단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가 커지고 작아짐에 따라 물체가 크고 작게 보인 것처럼, 어떤 물체가 실제보다 작아 보이거나 크게 보이는 등 형태적으로 왜곡되어 인식되는 질환이다. 측두엽의 문제에 의해 시각 정보가 왜곡되어 전해져 보이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실제로 뇌병변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사실 위와 같은 증상 .. 건강이 최고지 2022. 12. 5.
용혈성 요독 증후군 원인 알아보자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은 장출혈성 대장균 등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신장 기능 저하로 혈중에 독소가 쌓이는 급성 질환이며, 가장 흔한 원인은 오염되거나 부패한 음식 섭취를 통한 식중독이다. 다른 매개체의 전염병과 다르게 전염력은 낮으나 주로 7세 미만의 영유아 아이들에게서 상호간 전염될 수 있는 전염병이다. 주로 대장균 O-157: H7(이하 O-157)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shigella(세균성 이질), 살모넬라 등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설사가 동반되고 혈변을 보게 되며 이러한 잠복기가 약 4~5일 정도 지속된 이후에 혈전성 혈소판 감소 자반증과 빈뇨증, 급성 신부전 등이 오게 된다. 그 외에 감염.. 건강이 최고지 2022. 12. 4.
외계인 손 증후군 원인 뇌에서 좌반구와 우반구를 연결해 주는 뇌량(corpus callosum, 腦梁)이 파괴 등의 이유로 없어진, 분리뇌 환자에게서 주로 볼 수 있는 증상. 다른 말로는 Dr. Strangelove Syndrome이다. 증상 한쪽 팔이 자신과 상관없이 움직이는데, 마치 어떤 목적을 띤 것처럼 행동한다. 예를 들자면, 정상 손이 와이셔츠 단추를 채웠는데, 외계인 손이 다시 푼다. 담배를 물었는데, 외계인 손이 그 담배를 빼앗는다. 컵을 들었는데, 외계인 손이 그 컵을 빼앗으려 한다. 그래서 양 손간에 실랑이가 벌어진다. 외계인 손이 자신의 얼굴을 계속 친다. 외계인 손이 자신의 목을 조른다. 말하자면, 한쪽 손이 자신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마치 외계인이 조종하거나 팔 자체에 또 다른 의지가 담겨 있는 듯이.. 건강이 최고지 2022. 12. 2.
엔젤만 증후군 원인 1965년 영국의 소아과 의사 Dr. Harry angelman에 의해 보고된 증후군으로, 아래의 특징을 가진다. 발달 지연 언어 장애 돌발적인 웃음이나 행복감 주의력 결핍 뻣뻣하고 경련이 있는 걸음걸이 간질 정신지체 독특한 얼굴 이상 과도한 웃음 원인 어머니로부터 온 15번 염색체의 이상(결실되거나 중복)이 주 원인이다. 이 경우가 75%을 차지하고 부성 UPD로 발생할 수도 있는데 2~3% 에 불과하다. 나머지 20%는 15q11q13에 존재하는 UBE3A 유전자의 돌연변이일 확률이 크다. (1) 약 70~75% : 모친으로부터 유래한 15번 염색체의 장완근위부(15q11q13)의 미세결손이 원인으로 대부분 자연발생적이다. (2) 약 2~3% : 부친에게서만 받은 단친성 2염색체(uniparental.. 건강이 최고지 2022. 12. 2.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Stevens-Johnson syndrome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은 피부에 발생하는 매우 위중한 질환의 일종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피부병 중 사람이 사망할 수 있는 질병은 피부암, 유전병인 할리퀸 어린선, 그리고 이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셋 뿐이다. 병명은 1922년에 미국 소아 질환 저널(American Journal of Disease of Children)에 해당 질환에 대해 공동저술한 미국의 소아과 의사들인 앨버트 메이슨 스티븐스와 프랭크 챔플리스 존슨의 성에서 따온 것이다. 매년 약 100만명당 1명이 발생하는 희귀병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의사들이 배우기는 하지만 정말 극히 드문 케이스라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 부작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약물을 처방하더라도 부작용이 있다고 주의를 주지 않는다... 건강이 최고지 2022. 12. 2.
선청성 면역 결핍 증후군 증상 및 예방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과 달리 태어날 때부터 면역과 관련된 유전자에 결함이 생겨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 유전성 질병 중의 하나, 발생 빈도는 10,000명 중에 한 명꼴이며, 이 중 B 세포계 결함이 55%, T 세포계 결함이 25%, 식세포계 결함이 18%, 보체계의 결함이 2%를 차지하며, 주로 80% 이상이 영아기 시절에 나타나며, 특히 많은 경우에서 X-염색체에 의하여 유전되기 때문에 여아보다는 남아의 발생 빈도가 70%를 차지한다. 증상 주요 증상은 감염이다. 이 질병을 가진 환자는 작은 감염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선천적 면역 결핍증의 환자는 감염예방을 할 수 있는 세포가 극히 결함되어, 잦은 호흡기 질환이 반복되고 심하면 합병증(기관지염, 만성 중이염 등등)까지 나타나.. 건강이 최고지 2022. 12. 2.
선청성 경상 증후군이란 뭘까? Congenital mirror movement disorder (先天性 鏡像 症候群) 상염색체 우성 또는 열성을 통해 유전되는 유전질환으로, 소아기에 시작되는 질환이다. 신경계 발달에 중요한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부분 일생 동안 지속된다. 매우 드문 질환으로, 백만 명 당 1명 꼴로 보고되어 있다. 증상 한쪽 신체의 행동을 반대측 신체가 불수의적(무의식적)으로 따라하는 증상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예를 들면, 오른쪽 손의 주먹을 쥘 때 반대측(왼쪽) 손도 따라서 주먹을 쥐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 상지(팔)에서 자주 관찰되며, 특히 손가락과 손에서 가장 자주 보인다. 다른 증상이나 징후는 동반되지 않으며, 지능과 수명은 정상인과 차이가 나지 않는다.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키.. 건강이 최고지 2022. 12. 1.
새집증후군 제거방법 베이크아웃이란?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9명이 실내 공기 오염도 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할 만큼 한국인들의 실내 환경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다. 또한 정부에서도 매년마다 관련 규제를 강화하며 관리 감독을 철저하게 진행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규 건물 및 인테리어 시공 후 발생되는 각종 유해 물질들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점 해결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생활 터전인 집이나 사무실 같은 건물 환경으로 인한 여러 병적 증상들을 일컫는다. 1984년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새 건물이나 개보수된 건물의 30% 정도가 새집증후군과 연관됐을 것이라고 한다. 비슷한 예시로 새 가구를 샀을때도 사용된 재료, 특히 목재접착재 등급에 따라 발생한다. 원인 대부분의 새집증후군은 .. 건강이 최고지 2022. 11. 30.
브라운 세커드(세카르) 증후군 원인 주로 경부(cervical) 레벨 척추의 편측절단(hemisection)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 대부분 자창(stab wound)에 의한 외상에 의해 발병하나, 드물게 종양 및 종기(abscess)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 증상의 병리를 알기 위해선 간단한 신경해부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먼저 신체의 운동 신경을 담당하는 신경체는 상위운동신경(UMN)인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가 운동피질(motor cortex)에서 내려와, 대부분이 숨뇌(medulla)에서 교차(decussate)하면서 척추로 이어져 추체축삭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를 이루게 된다. 이런 상위운동세포에 손상을 입게 .. 건강이 최고지 2022. 11. 30.
묘안 증후군 치료법 cat's eye syndrome · 猫眼 症候群 염색체 구조 이상으로 인한 유전병. 22번 염색체가 중복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선천성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지능 저하, 심장 질병, 귓바퀴 앞샛길, 요로계 및 골격계 기형 등을 동반한다. 환자의 대부분은 홍채가 불완전하거나 항문이 막혀 있다. 지능은 대부분 비교적 양호한 편. 하지만 대략 20% 정도가 IQ 70 이하의 지능을 보인다고 한다. 홍채의 모양이 고양이의 눈 같아서 묘안 증후군이란 이름이 붙었지만 환자의 대부분은 이러한 특징을 보이지 않는다. 구글 등에서 검색해 보면 알겠지만, 절대 고양이 눈처럼 예쁘게 되지 않으며 동공이 눈 중심에서 벗어나 홍채 한쪽에 치우쳐져 다소 흘러내리는 듯한 모양이 된다. 동공이 주로 타원형으로 되는데 타원 방향 역시 .. 건강이 최고지 2022. 11. 30.
라론증후군 증상 및 치료 1966년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병원의 소아청소년과 의사 지 라론(Zvi Laron)이 처음 발표한 질병이다. 성장호르몬 불감성 증후군(Growth hormone insensitivity syndrome)이라고도 불리운다. 증상 이 병에 걸린 사람은 심한 왜소증을 겪는다. 출생할 때의 키는 정상이나, 성장을 함에 있어서 굉장히 더디다. 2차 성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성적으로는 별다른 문제가 발견되지 않는다. 외형적으로는 왜소증과 구별하기 어려우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왜소증과 다르다. 왜소증은 성장호르몬의 과소 분비로 인해 성장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다수이다. 하지만 이 질환은 성장호르몬의 결핍이 원인이 아니라, 성장호르몬은 정상적으로 분비되나 이를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장이 더딘 것이다. 따라.. 건강이 최고지 2022. 11. 29.
나트륨 과다섭취 부작용 원인 해결방법 알아보기(덤핑증후군) 여러분들은 혹시 덤핑증후군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주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인데요. 식욕 억제제나 이뇨제 같은 약물을 복용했을 때 체내 수분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물론 건강한 일반인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만약 내가 먹는 음식 속에 염분이 지나치게 많거나 또는 평소보다 물을 적게 마셨다면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몸속 체액 농도가 낮아지면서 두통 및 어지럼증 그리고 심한 경우 실신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본인의 식습관을 점검할 필요가 있는데요. 예를 들면 소금 섭취를 줄이고 칼륨이 풍부한 채소류를 충분히 섭취하거나 충분한 양의 물을 마시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건강이 최고지 2022. 11. 28.
대사증후군 원인 증상 예방법 알아보기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들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이러한 수많은 질병들 중에서도 유독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질병이 있는데 바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같은 성인병 질환 들이다. 이중 한가지라도 해당되는 경우라면 이를 ‘대사증후군’ 이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만큼 흔한 질병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대사증후군 이라는 병에 걸리는 것일까? 그리고 치료법은 없는 것일까? 우선 대사증후군 이란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메타볼릭 신드롬 이라고도 불리는데 쉽게 말해 각종 성인병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보통 복부비만, 혈당 상승, 중성지방 증가, 혈압 상승, HDL 콜레스테롤 저하 가운데 세 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건강이 최고지 2022. 11. 28.
다운증후군 원인 알아보자 염색체 이상 질병 중에서 5% 정도의 낮은 확률로 유전되는 유전병. 1866년 영국의 의사인 존 다운(John Down)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간혹 사람들이 지능이 down된다는 의미로 붙은 병명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보통 Down Syndrome으로 쓰지만, 해외에서는 Down's Syndrome으로 많이 쓴다. 어차피 둘 다 발음상 차이가 없다. 한때는 다운 증후군 환자의 얼굴이 동양인(몽골로이드)을 닮았다 해서 존 다운이 붙인 이름인 'Mongolism'이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다운증후군 환자와 특정 인종을 동시에 비하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지금은 사장되었다. 염색체가 비분리된 생식세포로 인하여 21번 염색체를 3개 가짐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다. 다운.. 건강이 최고지 2022. 11. 28.
다낭성 난소 증후군 원인 한마디로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여성의 남성화, 비만, 다낭성 난소 및 불임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모든 병이 그렇듯이 사람마다 병의 정도가 전부 다르다. 위의 특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사람도 있다. 병명을 찬찬히 따져 살펴보면 먼저 다낭성 = Polycystic, 즉 낭종이 많다는 뜻이다. poly=multi=many이고 cyst는 흔히 낭종, 혹은 물혹이라도 한다. 대부분의 물혹은 양성 종양, 즉 악성종양인 암이 아닌 덩어리가 대부분이고, 속인 빈 덩어리를 cyst라고 한다. 즉 병명으로 보면 난자를 만들어 내는 난소에 물혹이 여러개 이상 수십개가 만들어지는 질병 증후군인데, 병명으로만 보면 별 문제 없는 질병 같지만 다발성 간신 낭종과 더불어 양성이지만 악성 취급을 받는 질환이다. 병리 및 증상 정상.. 건강이 최고지 2022. 11. 27.
나무인간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사마귀양 표피이형성증 Epidermodysplasia Verruciformis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며 손과 발, 온몸에 산호껍질, 조개껍질이나 나무껍질 같은 사마귀가 자라는 병이다. 본래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사마귀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나, 선천적으로 면역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백혈구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병변이 무제한적으로 커져 이런 참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보고된 사례는 전 세계에 대여섯 건뿐이라고. 또한 온몸에 퍼져나는 건 상당히 매우 드물다고 한다. 손과 발 또는 온몸이 나무 껍질 같이 변해서 이게 점점 커진다. 게다가 그 커진 껍질 하나하나에 신경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부로 제거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렇게 되는 병이다. 다소 징그러울 수 있으니 주의. 사진의 주인공은 'Ha.. 건강이 최고지 2022. 11. 27.
728x90